💰 학력 직업 기술. 돈벌이 시간관리

리뷰 / 남편의 부양에서 벗어나고 싶어 - 백마 탄 왕자는 현실에 없어

금태양 2021. 8. 29. 23:29
728x90
반응형

책 표지

제목 남편의 부양에서 벗어나고 싶어
夫の扶養からぬけだしたい
저자 유무이
ゆむい
발행일 2021년 06월 28일
일본에서는 2019/2/7에 발매
발행처 에이케이
키워드 에세이, 만화

리뷰

1
남편의 바람대로 돈을 버는 일을 구했지만, 아내는 남편에게
너는 파트타이머라서 책임질 일이 적고, 네가 돈을 벌어봐야 나보다 돈을 못 벌어오는데(웃음)
이라는 말을 듣고
-
남편은 아내에게
너는 나보다 가치가 떨어지는 사람이야.
라는 생각을 주입한다.
-
결혼 전에는 아내 될 사람에게
널 행복하게 해 줄게
라는 말을 하지만
결혼 후에는 태도가 너무 달라진 남편

2
한 입으로 두말하는 사람은 조심해야 하는구나….
누가 누군가에게 지뢰인지 모르니까, 결혼은 신중히 하자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3
사실 이것은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닐까?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을 많이 버는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더 돈을 많이 벌고, 그렇게 자기의 몸값을 높여간다…. 주변 사람들도 자기보다 돈을 많이 버는 사람을 무시하지 않는다.
-
그러니까, 현실에서도 이러한 이야기는 어디에서나 있을 것이다.
-
돈을 아내보다 많이 버는 남편은 아내가 돈을 벌어와도 너는 나보다 수입이 적으니까.
-
부모가 자녀에게 무언가를 강요하고 무언가를 못 하게 하는 것도 경제권이라는 권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리라
예를 들어 경제권을 가진 부모가
자녀에게 외국어 고등학교나 과학고등학교에 진학시키려는 경우, 자녀 본인은 그럴 마음이 전혀 없는데 말이지...

4
슬프지만 현실이란 말이지. sad but true
-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을 벌지 못하는 사람은 밥버러지 취급을 받고
돈을 벌어도
자신보다 돈을 많이 벌지 못하면 가치가 낮은 사람 취급을 받게 된다.

-
5
책이 독자에게 알려주는 것은
수입이 없거나, 적은 사람에게는 상냥하게 대해 줄 백마 탄 왕자님(Prince charming) 따위는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라는 것 아닐까?
-
그러니까
만화 내에서 남편이 아내에게 험하게 대하는 것은
나는 착취당하고 있다
라는 그러한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
아니면
그냥 자기보다 돈을 못 버는 아내가
만만해 보여서 화풀이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
6
남편이나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삶을 의탁(맡기지)하지 마라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남편 뒷바라지와 아이를 키운다고 자기 밥벌이를 포기하지 말라는 것
사랑보다는 경제적 자립이 가장 중요하다….

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사랑이라는 감정에는 전에는 돈이 가장 중요한 가치라는 것

일본 아마존의 리뷰

를 보면 양극화되어있다...

책에

공감하는 리뷰도 있는가 하면 공감할 수 없는 리뷰도 있고

기시감이 느껴진다...

  • 상정 독자층이
    현재 상황을 개선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라기보다는
    나는 피해자구나 라는 의식을 자극하는 그러한 컨텐츠는 점점 더 늘어날 것이라고 본다
    그것이 더 돈벌이가 되니까?
    책 뿐만 아니라
    인터넷에서도 커뮤니티 글에 올라오는 글 중 적지 않는 수가
    내가 가난, 인간관계, 병, 어릴 적 소중한 사람이 돌아가셔서, 폭력적이고, 억압적이고, 복종적인 환경에서 자라
    현재에도 그러한 기억이 힘들고, 고통스러웠고, 서러웠었다라는 글이 올라온다
    리얼(REAL)인지 거짓(FAKE)인지는 확인할 방도가 없지만...
    감정 과잉적인 글을 쓰고
    내가 이렇게 힘들었어, 라는 글을 쓰고 독자의 동정심과 연민하는 감정을 자극해 주목받고 무언가를 얻으려는 걸까

  • 다른 리뷰를 보면 피해자 의식이 강하고 남탓만 하는 주인공이 피곤하다,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편하게 살려고 한다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선택해야 겠지
    라는 리뷰도 있고

  • 전업주부라서 고생하지 않고 한가하니까 고민을 하는구나
    라는 리뷰도 있고...

로고 제작 출처 : https://logo.hgrs.me/jyoshimuda.html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