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만화 애니 게임 서브컬쳐

점프 만화 학교 강의록 1. 캐릭터를 좋아하게 되는 매커니즘

금태양 2021. 9. 8. 23:20
728x90
반응형

로고 제네레이터 https://konogi-tools.com/ghibli/#step1_ok

인상적인 부분을 번역해 보았다

원문을 보고 싶다면 이쪽으로

https://jump-manga-school.hatenablog.com/entry/01

 

ジャンプの漫画学校講義録①キャラクターの因数分解、およびキャラクターを好きになる心の

週刊少年ジャンプ・ジャンプSQ.・少年ジャンプ+編集部は、2020年度より、漫画家を対象とした創作講座「ジャンプの漫画学校」を開講しています。第1期の全10回の講義より、一部を抜粋

jump-manga-school.hatenablog.com


좋은 캐릭터는 있는 것만으로도 작품을 이끌어 간다
-
캐릭터는 나와 닮으니까 좋아진다
공통 요소가 많으면 더 좋다
그것이 성격적인 부분이든
가정환경이든

.
공통요소가 없어도 독자인 나에게 없지만, 캐릭터에게 동경할 만한 부분이 있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
공감이야말로 캐릭터가 독자들에게 호감 받는 지름길
나이, 성별, 학생인지 사회인인지, 도시에 사는 것인가, 지방에 사는 것인가, 생활 수준은 등
독자가 가지고 있는 요소에 따라
공감할 수 있는 캐릭터가 달라진다
공감이 독자를 넓힐 수 있다.
-
독자를 끌어당기는 호감
이 캐릭터 대단해! 라는 위를 향한 감정
이 캐릭터는 귀여워해 주고 싶어, 이 캐릭터는 좋은 녀석이라는 아래를 향상 사랑하는 감정
2가지의 호감이 있다고 한다
이상으로 호감받는 캐릭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공감할 수 있고
독자가 호의적으로 생각하는 행동을 캐릭터가 하는 것(동경과 귀여움으로 분류)
-
캐릭터의 호불호로 보이는 것
어떠한 캐릭터를 좋아하는 것은 캐릭터의 가치나 동경을 느끼고, 더 나아가 자신이 어떤 것이 가치를 두는가, 어떠한 것에 혐오감을 느끼는가? 등이 나타난다고 한다
이러한 분석을 진행하면 이번에는 독자, 만화 잡지, 출판사가 작품의 어디에 가치를 느끼고 있는지가 보인다고 한다
2명이서 같은 만화 이야기를 해도 취향과 성격이 다르므로 의견이 나뉘는 일도 있다고 한다
이런 식으로 자기가 이 작품의 어디에 끌렸는지에서 나아가
다른 사람은 어떤 식으로 생각하는지를 추측할 수 있다고 한다
물론 독자가 작품을 좋아하는 이유는 캐릭터 외에 끌린 경우도 있다...
본인이 캐릭터에 대해 무엇이 좋은지, 무엇이 싫은지를
자기 가치관이나 속성과 대조해보면
앞으로의 창작에 도움이 될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