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정교육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처세술, 매너가 있어야 장기적인 생존에 유리합니다!
왜 이런 것을 학교에서 말해주지 않을까요?
가끔은 이러한 예의범절을 가정교육을 통해 아이에게 가르쳐줘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만... 제 생각에는 이런 것은 가정에서 알려줄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해요! 왜일까요?
2021년 차 대다수의 가정에서는 부모 2명이 생존을 위해 밖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렇다면, 아이의 보호자가 제대로 자기 자녀에게 무언가를 가르칠 시간, 경제적 여유 등이 있을까요? 슬프지만, 아닐 것이라고 봐요.
결국 한국 사회에서 대다수의 부모들은 자녀에게 경제적 자립과 노후 지원을 원하고, 자식농사를 잘 지었다는 찬사를 듣기 위해서 자녀에게 공부라던가 능력개발 등을 강요하게 되는 것 같아요! 부모가 자식에게 필요한 것을 제공할 수 없는데도 자식에게 요구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불공정거래 아닐까요?
사실 아래와 같은 2가지 사항에 대해 가정에서 알려줘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 처세술, 예절(매너) - 인간관계에서 손해를 적게 보는 대인관계 등에 대한 기술
- 법, 돈, 부동산에 대한 것 - 예를 들어 왜 보증은 서면 안 되는지 등
2. 무례함을 솔직함이 아닙니다
인터넷 공간에서 현실 속 자기 얼굴과 사회적 지위를 감추고 익명으로 필터없이 글 쓰는 것이 버릇이 들면, 실제 살아있는 사람 앞에 필터링 없이 말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솔직한 것은 무례한 것이 아닌데 말이지요!
내가 말할 때 주로 상대가 괴로워하면 무례한 거고, 내가 주로 고민하느라 고통스러우면 솔직한것.
— 만화가 이종범 (@JongBeom) January 26, 2021
무례함과 솔직함의 차이는 내 몫의 고민을 상대에게 던져버리느냐 내가 안고 가느냐의 차이다. 그래서 미성숙한 놈들이 주로 무례하지.
3. 비즈니스에 필요한 처세술은 무엇일까요?
의무교육기간에서 10대 학생들에게 비즈니스에 필요한 매너 및 처세술을 가르쳐야 하는 것 같아요! 정확히는 장소에 따라, 나와 상대방이 대등한 관계(친구)인가, 갑과 을의 관계(부자관계, 직장생활 등)인가... 에 따른 처세술(감정 노동)
- 다른 사람을 부정적인 방향으로 자극하지 않는다! 왜? 트러블을 피하기 위해서!
- 적절한 사회적 거리를 지킵니다!
- 사생활 침해성 질문을 하지 않습니다!
- 형사가 아닌데도 형사가 된 기분으로 다른 사람이 사는 지역, 수입, 부모 등 사생활에 대해서 묻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에 대해 판단하려는 듯한 질문을 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이 나에게 말하고 질문하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한다! 그 의도가 악의적인 것 같고, 나에게 손해를 가져올 것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거절하는 것이 좋을지도!
남의 사생활에 대해 꼬치꼬치 묻는 게 관심, 정이란 생각은 이젠 정말 버려야 한다. 주로 40-50대 이상에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을 하는 사람이 많다. 상대방이 스스로 말한 주제에 대해서만 일반적이고 긍정적인 얘기를 같이 하다 마는 게 맞다 본다.
— s.lee (@sunbaelee) April 24, 2015
- 긍정적인 이야기를 꺼낼 수 없다면 입을 열지 맙시다! ^^
- 공사구분을 합니다!
- 다른 사람이 묻지도 않은 개인사, 가족사, 정치, 종교 사상 등을 표출하지 않습니다!
- 내가 이렇게 힘들게 자랐어 등의 불행 자랑, 내가 이렇게 잘났어! 자기 자랑을 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에게 자기 감정을 이해받고, 공감받기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감정 쓰레기통 취급하지 않습니다!
- 특정 종교나 사상에 대한 것을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지 않습니다!
- 기브 앤 테이크(give and take)의 원칙을 지킵니다!
- 다른 사람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지 않습니다! 보증을 서지 않습니다! 호구가 되지 맙시다!
- 다른 사람에게 금전적으로 도움을 줄 것이 아니면 조언을 하지 않습니다!
- 가르쳐들려고 하지 않습니다!
- 책임지지 못할 말이나 행동을 하지 않은다!
- 전반적으로 자기가 당하고 싶지 않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 하지 않습니다!
- 자신과 다른 사람의 에너지, 시간, 감정을 부정적으로 소모하고 손해를 주는 사람이 되지 않도록 합시다!
'컴퓨터 모바일 문서작성 사용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니메이션 - 리뷰/감상문의 ★2가지 제목 짓기 방법★을 소개합니다 (2) | 2021.05.16 |
---|---|
블로그 글은 어떻게 하면 1시간 이내에 쓸 수 있을까? (0) | 2021.05.13 |
스마트폰 홈화면의 앱과 위젯을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1.05.07 |
자급제 스마트폰 구매 시 고려한 요소 11가지를 적어보았습니다 (0) | 2021.05.04 |
인터넷에서 글을 쓸 때 조심해야 할 것을 정리해 보았어요 (0) | 2021.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