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만화 애니 게임 서브컬쳐

캐릭터의 피규어가 제작되는 기준은 무엇인가? - TVA 고블린 슬레이어 관련 피규어를 보고

금태양 2021. 4. 28. 18:05
728x90
반응형

캐릭터 피겨가 제작되는 기준은 대체 무엇일까?

제목에 쓰여있는 의문에 대한 해답이 궁금했다. 애니메이션이 방영되면 그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피규어가 나오는데 피규어가 제작되는 기준은 대체 무엇일까? 궁금했다.

인기 애니메이션이라도 그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모든 캐릭터가 피규어화되는 것은 아닌 것 같았다.

고블린 슬레이어 구글 검색 결과. (이미지 = 구글 이미지검색)

고블린 슬레이어가 방영되고 나서 구글에 고블린 슬레이어 피규어 라고 구글에 검색해보면 이미지 중 검색해서 나오는 것은 주인공인 고블린 슬레이어와 히로인에 해당되는 캐릭터들이다. 주인공이 파티원 중 고블린 슬레이어, 여신관, 엘프 궁수는 피규어화 되었는데, 드워프 도사, 리자드맨 승려는 피규어화되지 않은 것을 보면 매력적인 조형을 가진 캐릭터가 피규어화되는 것 같았다. 즉, 드워프 도사와 리자드맨 승려 캐릭터는 피규어를 제작해서 판매하려고 해도 상업성이 없어보여서 판매하지 않을 걸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여기까지가 필자의 개인적인 생각이다. 그럼 다른 사람들은 피규어 제작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 것일까? 그 의문에 대해 구글에서 검색해 보았다.

의문에 대해 검색하고 얻은 결과는?

필자가 검색한 인터넷 자료에 따르면 따르면 피규어화하는 캐릭터는 시장조사를 통해 결정된다고 하였다. 판매가 결정된 이후, 예약을 받는데, 수요 파악과 재고 소진을 위해서라고 한다.

피규어의 모습은 대다수가 여성 캐릭터의 형태인 이유는 피규어를 구매하는 고객이자 소비자의 대다수가 남성 성인층이라는 이유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물론 남성 캐릭터의 피규어도 소수지만 존재한다.

또한 어떤 애니메이션의 캐릭터가 피규어라는 상품으로 제작되는 것은 시장조사를 통해 구매자가 원하는 캐릭터라고 한다. 당연하지만 피규어를 제작하는 기업은 자원봉사자 집단이 아니고 이윤을 추구하는 사기업이기 때문에 팔릴만한 캐릭터를 제작한다고 한다.

피규어를 예약받는 이유는?

물론 수요파악도 있지만 피규어 제작 자체가 노력과 기술과 시간이 들어가는 것이라고 한다.

피규어 (PVC 방식)가 판매될 때까지의 흐름도는 간단하게 아래와 같은 플로우로 정리할 수 있다.

피규어가 판매될때까지의 플로우(이미지 = 4gamer.net)

  1. 기획, 라이센서와 협상
  2. 원형 사에 의한 조각 작업
  3. 원형의 복제 채색 마스터 만들기
  4. 금형 설계
  5. 테스트 샷 채색 레시피 작성
  6. 상품의 제조
  7. 해외 공장에서 일본으로 출하
  8. 매장에서 판매

피규어가 기획에서 매장에서 판매되기까지 최소 9개월 정도는 걸린다고 한다.

자료원

방영 중인 인기 TV 애니메이션과 캐릭터 피규어

最近のフィギュア市場ってどうなってるの?――グッドスマイルカンパニーに聞くフィギュアビジネス,そして「ブラック★ロックシューター」という挑戦

‘쿨 재팬’ 이끄는 일본의 오타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