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타인 사건 정치

2 - 오타쿠 타깃 비즈니스에서 논란을 일으키지 않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고객과 제작자가 주의해야 할 것을 나열해 봤어요!

금태양 2021. 5. 11. 12:46
728x90
반응형

고객은 제작자에게 무언가를 요구하지 않는다!

고객의 입장에서 게임이나 컨텐츠 창작자, 생산자, 제작사에게 캐릭터 및 스토리 변경, 피씨 Political Correctness를 요구하지 않는다! 캐릭터는 살아있는 사람이 아니라 상품이에요! 캐릭터나 스토리 등의 상품 개발에 무언가를 요구할 수 있는 입장에 서 있는 사람은 생산자 입장에 있는 사람 및 상사라고 생각해요!

블리치 만화가인 쿠보 타이토도 말했어요!

만약 BLEACH보다도 더 재밌는 만화를 그릴 수 있는 재능이 있다면, 지금 당장 만화가가 되야 한다.
재미있다면 분명 BLEACH보다도 성공한다. 그림을 잘 못 그린다면,
노력해서 편집자가 되서 만화가에게 어드바이스를 해라.
정말로 능력이 있다면 어디를 가더라도 환영받는다.

재능도 없고 노력도 안하고 그런 주제에 주어지는 것이 불만을 말하며 노력하는 인간의 발목이나 잡아끌어대는 듯한 녀석은 눈을 막고 어딘가 구석에 처박혀서 입만 벌리고 빗물과 먼지만 먹으며 목숨이나 부지하고 있어라.

가끔 착각하는 애들이 있으니까 말해둘게.
독자가 가진 권리란 작품의 이야기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야.
그 작품을 읽을까 읽지 않을까를 선택하는 권리다.
맘에 들지 않으면 읽지 않으면 그만.

합성이지만...

글과 이미지는 아래 링크에서 가져왔어요!

블리치(BLEACH) 최신 근황! 작가 쿠보 타이토의 막말 파문.

문제의 진원지인 쿠보 타이토의 트위터 블리치란 만화를 짧게 소개하자면 일본의 만화잡치 소년 점프(국내...

blog.naver.com

침묵은 금이다! 개발자(생산자)는 고객의 기분을 다운시키고 같이 일하는 팀원의 손해를 주는 가치관과 사상을 표출하지 않는다!

너무 강한 말은 쓰지마... 약해 보인다구. 출처 - 블리치

언제나 자기가 행사하는 자유에 책임을 질 것! 창작물은 보통 수십 명에서 많으면 수 백명 이상의 인력이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인터넷 기사에서 봤어요! 그렇다면 많은 인력이 모이면 집단이자 팀인 것이겠지요? 이외에도 인력만이 아닌 시간, 노력이라고 불리는 노동, 자본 등이 포함된다고 합니다. 그중 1명이라도 인터넷 등과 같은 열린 공간, 혹은 폐쇄적인 공간이라도 고객이나 팀원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말이나 행동을 하면 안 되겠죠! 왜일까요?

고객은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자기 기분의 유쾌함을 중요하게 여겨요! 예를 들어, 캐릭터가 중요한 요소를 이루는 컨텐츠의 경우에는 고객이 캐릭터에 감정이입을 합니다. 그런데, 제작자 중 1명이 자기 기분을 불쾌하게 만드는 언행을 한다면... 기분이 안 좋아지겠죠! 그리고 그러한 기분의 높낮이가 상품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에요! 간단히 말하자면, 다른 사람의 감정을 다운시키거나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킬 만한 글을 쓰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객을 이루는 요소 중 어느 것이라도 조롱하거나 욕을 하지 않는다! 고객이 싫어할만한 사상표출을 하지 않는다! 말을 하고 그것이 물의를 일으키면 직장을 잃고 먹고살 수 없기 때문이에요!

창작자 입장에서는 같이 일하는 팀원 중 1명이 불쾌한 말을 하면 기분이 상하기 때문이에요! 팀원도 사람이에요! 같이 일하면서 불이익이나 경제적 손해를 입고 싶지 않을거에요! 팀킬 하지 않는다!

관련된 심도 깊은 칼럼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메갈사태 VS 사상검증,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불과 몇 주 전 누구나 이름을 들으면 알만한 모 게임의 일러스트레이터 성향이 도마 위에 올랐다. 메밍아웃(메갈리아와 커밍아웃의 합성어)했다는 의견, 개인에 대한 사상검증이라는 의견으로

www.inven.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