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출처 :
Akudama Drive
Watch the latest clips from Akudama Drive! The sub and bud now streaming on Funimation!
www.youtube.com
퍼니메이션 영어 더빙 리뷰
어울립니다. 미국에서 더빙한 것 같네요, 퍼니메이션이 미국 회사니까, 그렇게 추측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일본 애니메이션 팬들의 영어 더빙에 대한 수요가 높은 걸까요? 부럽습니다. 이러한 트렌드가 말입니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트렌드, 즉, 일본 애니메이션을 수입하고, 캐릭터에 한국어 더빙을 하는 것이 좀 더 자유로워졌으면 좋겠습니다.
엔딩 영상
엔딩영상에서 나오는 음악과 영상미가 멋지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애니메이션의 여러 에피소드 중 1개의 에피소드에도 여러 인력이 참여하였는데, 엔딩 영상에서 나타나는 크레디트의 순서는 왜 그런 걸까요? 그것을 알고 싶어서 구글에서 검색해봤습니다.
크레딧
영어로는 클로징 크레딧(closing credits), 크레딧은 실제로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단어라고 합니다. 일본어로는 스태프롤(スタッフロール)이라고 하네요.
엔딩 크레딧 순서는 중요도 순서일까요?
아닌 것 같습니다. 모든 스태프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애니메이션이라는 것이 1명이 만드는 것이 아닌 회사 측에서 돈을 지불할 가치를 지닌 능력을 갖춘 많은 인력이 모여서 만드는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2.gif)
구글 한국어판에서 애니메이션 엔딩 크레디트로 검색을 해본 결과 제가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페이지를 찾지 못했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35.gif)
그렇다면, 일본어판 구글에서 애니메이션 엔딩 스태프 롤(アニメエンディングスタッフ)로 검색을 해봐야겠지요?
クレジットタイトル - Wikipedia
クレジットタイトル (credit title)、クレジット (credit) とは、映画やテレビ番組、またはレコード・CDやゲームソフトにおいて、出演者(キャスト)、スタッフ、制作に関わった企業、団体など
ja.wikipedia.org
검색 결과 중 일본어판 위키피디아에서는 이런 정보가 있습니다. 구글 번역의 힘을 빌렸습니다.
- 크레딧에는 캐스트, 스태프 등 각 파트의 책임자를 명확하게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 완성도가 낮은 작품의 스태프롤을 전범 리스트라고 비유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 크레딧 순서는 보통 캐스트라는 목소리를 내는 성우, 그리고 스태프 순으로 표시된다고 합니다.
- 영상 콘텐츠에서 오프닝은 제작 프로덕션, 중요한 출연자, 프로듀서, 감독, 원작 등의 중요한 크레디트, 엔딩에서는 모든 크레딧이 표시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6.gif)
이제야 어느 정도 엔딩 스태프 롤 순서에 대해 이해가 되었어요!
여유가 있고 기회가 되면 영상에서 언급되는 스태프의 역할에 대해서 조사해보고 싶습니다.
'문화. 만화 애니 게임 서브컬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권 애니메이션 팬덤 반응을 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1 (0) | 2021.05.19 |
---|---|
🏀쿠로코의 농구 2기 영어 더빙은 넷플릭스에서 볼 수 있습니다 - 21년 5월 15일부터 (0) | 2021.05.18 |
소년점프 연재 만화 - 애니메이션 제작 위원회를 구성하는 회사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0) | 2021.05.09 |
수염을 깍다. 그리고 여고생을 줍다. /1화 리뷰 - 사유짱이 귀여웠어 (0) | 2021.05.05 |
엔도 히로키 作 '에덴'/리뷰 - 약한 자들이 저녁무렵에 더 약한 자를 공격하고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