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하게 살기 위해서는 의식주 중 주거환경의 위생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1명이서 살면 혼자서 식사라던가 청소를 마음대로 할 수 있지만, 2명 이상이 살면 깔끔함을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적어도 청소는 꾸준히 해야 위생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2명 이상이 같이 사는데 1명이 혼자 하면 시간, 에너지, 돈이 소모된다. 내가 왜 아무런 대가 없이 혼자서 청소를 해야 할까?라는 억울함이 생기면, 싸움이 일어난다.
- 2명 이상이 같이 살면 청소나 설거지는 각자가 어느 곳을 담당해서 청소할 것인지를 상담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나이가 많든 적든, 직장에서 소모하는 시간이 길든 아니든 상관없다. 같이 해야 한다.
- 돈을 많이 벌면, 1주일에 1번씩 청소업체를 주기적으로 불러서 할 수는 있겠지만... 그러할 돈이 없으면 같이 하는 것이 맞다.
반짝반짝 청소라는 책은 청소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사람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책이다.
청소에 필요한 도구
청소에 도움이 되는 세제
1년 대청소 스케쥴
청소 주기
대청소 4일 코스
전업주부와 워킹맘의 평일 청소 스케줄
주방 청소
욕실 청소
거실 청소
방 청소
베란다 청소
현관 청소
가전제품 청소
이삿집 셀프 청소
30분에 할 수 있는 청소
이러한 것들을 알려준다.
좋은 점은 청소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사진과 글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청소 주기, 청소할 때 필요한 준비물, 청소하는데 소요하는 시간, 청소 강도 등도 나와있다.
https://nano-trends.net/basic-cleaning-schedule-templates/
掃除が苦手な人の1週間「掃除スケジュール表」の作り方(掃除計画表テンプレート付き)
「ほこりがたまっているのは知っているけど、まだ大丈夫」と思っていたら、あっという間に「げッ!こんなにホコリがたまってる。そろそろ掃除しないとマズイかも」と、限界まで見て見
nano-trends.net
구글 검색창에서 掃除 スケジュール을 입력하고 나온 것이 이 웹페이지이다.
이 페이지에서는 요일별로 청소, 세탁, 쓰레기 버리기, 장보기 등에 대한 템플릿이 있다. 사용하면 좋을지도.
이상적인 청소 스케줄이란 무엇일까?
내 생각에는
사람 수와 청소 구역을 정하고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생각한다.
예를 들어 2명이 같은 집에 살면
빨래
쓰레기 버리기
주방
욕실
거실
베란다
가전제품 청소
청소 도구 세척
이러한 항목에 있는 것을 2명이서 나누는 것이다.
그리고
일을 하는 날/바쁜 날은 그날 청소 시간은 어떻게 할 것인지
일을 하지 않는 날/여유로울 때는 그날 청소 시간은 어떻게 할 것인지
그리고 청소하는 방법을 공유하려면
구글 포토나 구글 킵
을 통해 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스프레드시트로 올해 7월 청소 스케줄을 만들어봤다.
개인적으로 청소 스케쥴을 만들고, 한 달을 주기로 개인이 담당할 청소 구역을 바꾸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한 달 주기로 담당하는 청소 구역을 바꿔야 어떻게 집안 청소를 해야 하는지 전체적으로 알게 되니까.
7월에 주방 청소를 한다고 해서 평생 그것만 알고, 주방 청소만 한다는 것은 아니지 않겠나, 라는 생각이다
청소 구역마다 청소하는 것과 그와 관련된 청소 주기, 청소 시간을 만들면 편하지 않을까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괜히 같이 사는 다른 사람을 위해서
- 쓰레기를 버리거나
- 세탁하거나
- 장 보거나
- 요리하지 않기.
시간, 돈, 에너지는 한정적이다. 이런 것을 소모하지 않는다.
괜히 다른 사람에게 대가 없는 호의를 베풀거나 자기가 해야 할 일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지 않는다. 다른 사람의 발목은 잡지 말자.
'건강 운동 음식 뷰티 청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뷰 / 한 그릇 밀프랩 다이어트 레시피. 왕초보 환영! 1인분만 만드는 일본 가정식. 1인 가구 살림법 (0) | 2021.09.03 |
---|---|
리뷰/한입에 주간 도시락 - 반찬 색은 최소 3색이상으로 매치하기 (0) | 2021.08.28 |
식재료 사전/리뷰 - 식재료에 어떠한 영양소가 있는지 알려줍니다 (0) | 2021.06.16 |
(○゜ε^○)혼자 살게 되면 식사는 어떻게 챙겨야 할까? (0) | 2021.06.09 |
외모 관리 - 자본주의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필요합니다 (0) | 2021.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