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qgCDuE47xew
영상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아이의 학력과 부모의 경제력의 관계썽, 학습공백의 극복여부는 경제력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사실 아이의 학력은 부모의 학력과 관심에 따라 달라지겠지만서도.
결국 아이는 부모의 거울이라는 것이라는 것을 영상을 통해 이해할 수 있었다.
정말 월 평균 43만정도의 돈을 1명의 아이에게 투자할 수 없고, 아이를 어떻게 키울 것인지에 대한 어떠한 비전이 없으면 아이를 낳으면 안 돼...
그리고 디지털 기기 관련해서 어떤 식으로 자제력을 키울 것인지에 대한 비전도 필요하고 말이지.
생리학적으로 아이를 낳는 것만이 부모가 됨이 아니고
어떠한 역할을 보여줄 것인지
부모라는 역할에 대해 끊임없는 공부가 필요하지
아이에게 어떤 식으로 공부에 대한 의욕을 그 나이대의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지
국가에서도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겠지
728x90
반응형
'뉴스 타인 사건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멸의 칼날」대히트는 유통 전략 덕분! 데이터로부터 분석하기 (0) | 2021.11.09 |
---|---|
만화가가 되기 위해서는 학력이 필요할까요? (0) | 2021.11.08 |
부모는 자식에게 출세를 강요하면서 물질적 지원은 하지 않는 불공정거래를 왜 하는걸까? (0) | 2021.10.28 |
애니메이터가 작품에 관련된 부적절한 트윗, Production IG가 사과 (0) | 2021.10.20 |
일본 애니메이션 굿즈, 기획은 어디에서 하는 것일까? 2 (0) | 2021.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