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성 중심인 스토리와 캐릭터의 템플릿화/표절
그러니까, 단행본이 잘 팔리고, 애니메이션, 소설화, 미디어믹스 등으로 전개된 기존의 인기작을 소년점프 내부에서 벤치마킹하는 것 같아요. 다른 만화지만 일단 소년점프라는 같은 잡지에서 연재하다보니 비슷해보이는 전개, 비슷해보이는 캐릭터의 대사, 행동, 외모 등… 겹치는 부분이 많은 것 같아요. 이러한 면은 소년점프라는 잡지가 상업성을 추구하기에 일어나는 현상같아요. 독자에게는 재미와 원하는 캐릭터를 제공하되, 독자는 소년점프라는 잡지를 구매해서 제작진에게 돈을 제공하는 것이지요. 이런 과정을 거쳤기에, 캐릭터나 스토리가 템플릿화가 되는 것은 아닐까하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캐릭터와 스토리의 템플릿화에는 기획과 편집자의 힘이 어느정도 작용한 것 같아요.
미형 캐릭터는 주조연이고, 추형 혹은 그에 가까운 캐릭터는 단역인 경향
이런 경향이 큰 것 같아요. 어쩔 수 없는 것이 현실에서도 사람의 외모 혹은 외형이라는 것이 호감이라는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드라마, 영화, 광고에서도 상품을 팔리는데 도움이 되는 그런 외모의 배우를 동원하잖아요. 그래서 그림이라는 형태를 띤 만화에서도 주조연은 캐릭터 외모가 미형인 것 같아요. 설정상으로 미형이라는 소리가 없더라도 그림체로는 미형인 경우가 대다수이지요. 단적으로 말하면 외모지상주의같은 현실이 만화를 보는 독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소리입니다. 소년점프는 만화를 팔리기 만들기 위해 미형 캐릭터를 내세우는 것이고요.
재능없는 주인공은 없습니다
노력은 주인공이 기본적으로 당연히 해야하는 것으로 드러납니다. 나루토의 경우가 대표적인 경우이지요. 여기서는 조연들도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런데 후반부로 갈수록 재능이 강조됩니다. 만화 외적인 이야기이지만, 재능이 강조되는 것은, 소년점프에 소속된 편집자나 만화가나 재능의 중요성을 절절히 느낀 것은 아닐까하고 추측하고 있어요. 같은 시간 노력은 하지만, 재능이나 학습능력같은 차이가 있으니까, 편집자가 된 사람도 있고, 만화가가 된 사람도 있지 않을까요. 그렇지 못한 사람도 있겠고요. 물론 본인의 인생경험을 일부러 만화에 적용해서 그린 것보다, 10대 독자들에게 어필할만한 노력이라는 요소를 만화 내에 넣기는 하지만, 무의식적으로 제작진들도 개개인의 학습능력, 재능이라는 차이,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소요된 시간 등이라는 요소를 노력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것 같아요. 만화 내적으로 보면 10대 남성 독자가 감정이입하고 대리만족하는 주인공이 승리하는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노력+재능이라는 요소가 부각된 것이겠고요.
만화 완결을 이르게 하는 경향
나루토와 귀멸의 칼날을 예로 들어볼까요. 나루토는 총 72권, 귀멸의 칼날은 총 23권으로 완결되었습니다. 두 만화 다 일본 내 판매량은 1억 부 이상이지요. 둘 다 잘 팔렸으니, 소년점프에서는 행복한 비명을 지르지만, 왜 이렇게 된 것일까요. 나루토는 1999년부터 연재를 시작해서 2014년에 완결되었고, 귀멸의 칼날은 2016년에서 2020년도까지 연재되었습니다. 같은 만화잡지에서 연재되었고, 잘 팔렸지만, 완결 권수는 다릅니다. 나루토 만이 아니라, 나루토보다 늦은 시기에 연재가 시작되었고 애니메이션화 같은 미디어믹스 전개가 된 완결된 만화를 보면, 서브컬쳐를 즐기는 소비자의 흐름이 롱런하는 긴 문화상품보다는 굵고 짧게 가는 문화상품을 즐기는 쪽으로 변화했고, 제작진들도 그 흐름을 캐치하여, 만화는 짧게 연재하되 완결되면 그 만화 타이틀의 후속작, 스핀오프 등을 내기 시작한 것 같아요.
'문화. 만화 애니 게임 서브컬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즈와 파랑새 리뷰 - 백합이라는 장르 속 담백한 감정 묘사가 인상적입니다 (0) | 2021.02.06 |
---|---|
나만이 없는 거리 리뷰 - 보상을 바라지 않는 이타적인 주인공의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0) | 2021.02.05 |
요괴희화 1권~5권 리뷰 - 섬세한 그림의 옴니버스 요괴 만화 (0) | 2021.02.02 |
왜 일부 슬램덩크 팬은 쿠로코의 농구나 작가를 비하하는 걸까요. 그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았습니다. (0) | 2021.02.01 |
만화잡지 소년점프 리뷰 1 - 가난이라는 소재, 해피엔딩, 주인공의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0) | 2021.01.30 |